경제동향과 전망 2025년 1분기 (Vol. 35-1)
요약
2025년 1분기 한국 경제는 글로벌 경기 회복과 함께 수출이 개선되면서 2.6%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 특히 반도체와 AI 관련 산업의 성장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 다만, 미중 무역갈등 심화와 중동 정세 불안 등은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
1. 글로벌 경제 동향
2024년 4분기 세계 경제는 인플레이션 완화와 주요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기조 전환에 따라 회복세가 강화되었습니다. 미국은 연방준비제도(Fed)의 금리 인하 시작으로 소비 및 투자 심리가 개선되며 2.1% 성장했고, 유로존은 1.6%, 중국은 4.9%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.
글로벌 교역량은 전년 동기 대비 3.2%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으나, 중동 및 동유럽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인한 에너지 가격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. 또한, 미중 간 기술 패권 경쟁의 심화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.
2. 국내 경제 현황
2024년 4분기 국내 경제는 반도체 수출 회복과 설비투자 증가에 힘입어 2.5%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. 특히 D램 및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이 수출 증가로 이어졌으며, 반도체 장비 및 AI 관련 설비투자도 확대되었습니다.
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2.4% 상승하여 안정세를 보였으나, 국제 유가 및 농산물 가격 변동 등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. 고용 시장은 서비스업 및 IT 산업을 중심으로 개선되며 실업률은 3.0%로 전년 동기 대비 0.2%p 하락했습니다.
3. 주요 산업 트렌드 분석
반도체 산업
AI 수요 증가로 인한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, 국내 기업들의 HBM 및 첨단 공정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 1분기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.5%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
AI 관련 산업
생성형 AI의 산업 적용이 확대되면서 관련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, 서비스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. 국내 AI 스타트업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35% 증가했으며, 대기업들의 AI 역량 강화를 위한 M&A도 활발하게 진행 중입니다.
친환경 에너지
글로벌 탄소중립 기조에 따라 국내 이차전지, 수소, 재생에너지 산업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. 특히 이차전지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.2% 증가했으며,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(ESS) 시장 확대가 이차전지 산업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.
4. 리스크 요인 및 정책 제언
대외 리스크 요인
-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심화에 따른 글로벌 교역환경 악화 가능성
- 중동 및 동유럽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인한 에너지 가격 변동성
-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
국내 리스크 요인
- 가계부채 증가 및 부동산 시장 불안정성
- 고령화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재정 부담 증가
-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업구조 전환 과정에서의 조정 비용
정책 제언
- 첨단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R&D 투자 및 인력 양성 지원 확대
- 중소·벤처기업의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규제 개혁 및 금융 지원
-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및 고용 안전망 강화
-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산업별 맞춤형 지원 및 공정한 전환 정책 추진
5. 2025년 경제 전망
2025년 1분기 국내 경제는 글로벌 경기 회복과 수출 증가에 힘입어 2.6%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 상품별로는 반도체, 이차전지, AI 관련 제품의 수출 호조가 예상되며, 서비스 부문에서는 관광 및 콘텐츠 산업의 회복세가 지속될 전망입니다.
소비자물가는 국제 원자재 가격 안정화와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으로 2.2%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, 원/달러 환율은 1,270원 내외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 한국은행은 물가 안정과 금융 안정을 고려하여 기준금리를 3.0%로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Sanimoon 경제연구소는 대내외 불확실성 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, 경제 주체들의 리스크 관리 강화 및 신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노력을 권고합니다. 특히 AI, 바이오헬스, 친환경 에너지 등 미래 성장 산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.
주요 경제 지표
지표 | 이전 | 현재 | 전망 |
---|---|---|---|
GDP 성장률 | 2.5% | 2.6% | 2.8% ↑ |
소비자물가상승률 | 2.4% | 2.2% | 2.2% → |
실업률 | 3.0% | 2.9% | 2.8% ↓ |
경상수지(억 달러) | 72 | 76 | 82 ↑ |
원/달러 환율 | 1,280 | 1,270 | 1,265 ↓ |
기준금리 | 3.25% | 3.0% | 3.0% → |
결론 및 시사점
2025년 1분기 한국 경제는 글로벌 경기 회복과 함께 반도체, AI, 이차전지 등 핵심 산업의 호조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. 다만,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중 기술 경쟁 심화 등 대외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, 경제 주체들의 탄력적인 대응 역량 강화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. Sanimoon 경제연구소는 미래 성장 동력 확보와 경제 체질 개선을 위한 중장기적 관점의 정책적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고 제언합니다.